Roasting
1_Roasting
1_Roasting2
커피 로스팅
커피 생두에 열을 가해 물리적·화학적 변화를 반복적으로 일으켜 색상, 맛, 향미 성분을 발현시키는 과정 이다. 배전이라고도 불리며, 우리가 마시는 커피를 만들기 위해서는 로스팅 과정을 꼭 거쳐야 한다.
생두의 수확시기, 수분함량, 조밀도, 종자, 가공방법 등 생두의 특성에 따라 로스팅 하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세밀한 조절이 필요하다. 가열 온도와 시간에 따라 달리 로스팅이 되는데 그에 따라 맛이 달라진다.
라이트 로스트부터 이탈리안 로스트까지 종류가 8가지 된다. 로스팅을 짧게 했을 때는 신맛 강하고, 중후함과 향기가 약하다. 로스팅을 길게 했을 때는 탄맛(쓴맛)이 강하고, 원두의 스펀지화가 일어나 오일이 스며든다.
Blending
2_Blending
2_Blending
커피 블렌딩 서로 다른 나라나 지역에서 생산한 생두를 섞어 배합하는 과정이다. 꼭 필요한 과정은 아니지만, 특성이 다른 2가지 이상의 커피를 혼합하면 새로운 향미를 창조할 수 있다. 특정 종류 생두의 부족한 점을 다른 종류로 보강시켜, 더욱 조화로운 맛과 향을 낼 수 있다.
블렌딩도 방법이 두 가지있다. 생두단계에서 블렌딩하는 방법과 로스팅 후 블렌딩하는 방법이 있는데 보통 생두단계에서 블렌딩을 한다. 로스팅 후 블렌딩을 하면 각각 원두의 특성과 개성을 살릴 수 있지만 난이도가 매우 높다.
Grinding
3_Grinding2
3_Grinding1
커피 그라인딩 로스팅한 원두를 분쇄하는 과정이다. 원두를 분쇄함으로써 커피 추출의 면접을 넓혀 주기 위한 작업이고, 이를 통해 커피 추출 시 여러 커피 성분들이 물에 잘 녹여내 커피 향미에 영향을 미친다. 그라인딩 정도에 따라 입자 굵기가 달라지며, 그 굵기에 따라 또 맛과 향이 달라진다.

원두를 굵게 분쇄하면 물이 빨리 내려가서 커피가 연하게 추출되면서 신맛이 강조된다. 원두를 곱게 분쇄하면 표면적이 넓어져 물과 접촉 시간이 늘어나기에 진하게 추출되면서 탄맛(쓴맛)이 강조된다.
Brewing
4_Brewing
커피 추출 분쇄한 원두 가루를 추출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우리가 알고 있는 커피가 완성된다. 추출하는 도구에 따라서 다양한 커피를 즐길 수 있고, 대표적으로 에스프레소, 콜드 브루 커피, 드립 커피, 버큠 포트(사이펀), 프렌치 프레스, 모카 포트 등이 있다. 우리가 쉽게 카페에서 접하는 커피들은 대부분 에스프레소 방식으로 추출하여 사용한다.
콜드 브루 커피찬물을 사용하여 오랜 시간에 걸쳐 커피액을 추출하는 방식이다. 더치 커피라고도 불리며, 일본에서 유래한 것으로 콜드 브루 커피가 정식 명칭이다.